넷플릭스의 활동:
경쟁자:아마존
훌루(가입자의 빠른 증가 : 2018년- 1천8백만 vs 2019년- 2천8백만), 넷플릭스 견제 목적으로 2007년 런칭(디즈니,폭스,컴캐스트,타웜워너 가 만든 회사)
디즈니플러스:2019년11월 런칭, 풍부한 컨텐츠 보유, 활발한 인수합병(20세기폭스,픽사,마블등), 훌루 지분 100%인수(2019년 5월)
디즈니플러스의 출현
풍부한 콘텐츠로 출범 첫 날 1천만명의 가입자 유치
글로벌 OTT 가입자수 비교(2020년 2월 기준): 넷플릭스 1억6천7백만, 훌루:3천만, 디즈니플러스:2천9백만
넷플릭스와 디즈니의 격돌
넷플릭스의 아시아 시장 확대 전략:
중국(당국의 규제로 진입에 어려움)
인도
(온라인콘텐츠 시장 활성화, 그러나 토종기업(핫스타)가 시장점유 70%)
현지화전략: (30%점유목표) + 핫스타 인수 -> 그러나 디즈니나 2019년 폭스를 인수(핫스타는 폭스의 자회사)하면서 전략 차질
한국 시장 공략에 초점
엄청난 투자로 다수의 콘텐츠 제작
한국이 VIP 국가가 된 이유
한국은 아시아 공략의 전략적 요충지:
영화산업 발달, 티켓파워(세계시장 10%), 퀄리티의 우수함, 훌륭한 인터넷망(스마트폰 보급율 95%로 세계1위)
넷플릭스의 한국 공략 전략:
막대한 제작비 투입(한국형 콘텐츠 제작) -> 동남아시아(6억2천)+일본(1억2천) 시장 선점. 오리지널콘텐츠로 중국시장 점유
디즈니의 한국 전략:
2021년 한국 출시 예정(8천편의 번역 작업에 시간)
한국형 콘텐츠 제작 현황은?
한국의 토종 미디어 기업의 대응은?
CJ,JTBC, 지상파3사, IPTV(SKB,KT,U+)
출처:유투브 (Peachy) 요약
'기술 동향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03서버를 가상화서버로 옮기기 (0) | 2023.09.15 |
---|---|
(방콕족 사로잡아라)시청자 참여형 OTT 뜬다. (0) | 2020.03.06 |
온라인 디지털 콘텐츠와 OTT 서비스 이용 (0) | 2020.02.25 |
국내 OTT 사업자의 합종연횡과 OTT경쟁력 강화를 위한 제언(국내OTT 사업자의 합종연횡, 어떻게 볼 것인가) (0) | 2020.02.12 |
글로벌 OTT 시장 환경 및 전략 (0) | 2020.01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