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술 동향

넷플릭스와 디즈니의 피터지는 왕좌의 게임(왜 한국이 갑자기 VIP국가가 된거지?)

깐돌런 2020. 2. 19. 17:57

넷플릭스의 활동:

경쟁자:아마존

  훌루(가입자의 빠른 증가 : 2018년- 1천8백만 vs 2019년- 2천8백만), 넷플릭스 견제 목적으로 2007년 런칭(디즈니,폭스,컴캐스트,타웜워너 가 만든 회사)

디즈니플러스:2019년11월 런칭, 풍부한 컨텐츠 보유, 활발한 인수합병(20세기폭스,픽사,마블등), 훌루 지분 100%인수(2019년 5월)

디즈니플러스의 출현

풍부한 콘텐츠로 출범 첫 날 1천만명의 가입자 유치


글로벌 OTT 가입자수 비교(2020년 2월 기준): 넷플릭스 1억6천7백만, 훌루:3천만, 디즈니플러스:2천9백만


넷플릭스와 디즈니의 격돌

넷플릭스의 아시아 시장 확대 전략:

중국(당국의 규제로 진입에 어려움)

인도

(온라인콘텐츠 시장 활성화, 그러나 토종기업(핫스타)가 시장점유 70%) 

현지화전략: (30%점유목표) + 핫스타 인수 -> 그러나 디즈니나 2019년 폭스를 인수(핫스타는 폭스의 자회사)하면서 전략 차질

한국 시장 공략에 초점

엄청난 투자로 다수의 콘텐츠 제작


한국이 VIP 국가가 된 이유

한국은 아시아 공략의 전략적 요충지: 

영화산업 발달, 티켓파워(세계시장 10%), 퀄리티의 우수함, 훌륭한 인터넷망(스마트폰 보급율 95%로 세계1위)

넷플릭스의 한국 공략 전략:

막대한 제작비 투입(한국형 콘텐츠 제작) -> 동남아시아(6억2천)+일본(1억2천) 시장 선점. 오리지널콘텐츠로 중국시장 점유

디즈니의 한국 전략:

2021년 한국 출시 예정(8천편의 번역 작업에 시간)

한국형 콘텐츠 제작 현황은?


한국의 토종 미디어 기업의 대응은?

CJ,JTBC, 지상파3사, IPTV(SKB,KT,U+)


출처:유투브 (Peachy) 요약